데이터 정렬(2)
-
[알고리즘] 버블정렬
다음과 같은 5개의 데이터를 버블정렬로 정렬할 때의 순서입니다. 선택정렬의 경우 (1)번지의 값을 기준으로 두고 (2)번지, (3)번지.....순으로 즉 (1)→(2) (1)→(3) (1)→(4) (1)→(5) 순으로 비교했지만 버블정렬의 경우 인접한 다음 번지의 값을 비교합니다. (1)→(2) (2)→(3) (3)→(4) (4)→(5) 를 비교해 정렬하는 형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1회전 시 순으로 진행되다 종료됩니다. 결국 1회전이 끝나면 마지막 번지에 제일 큰 값이 들어갑니다. 각 회전 마다 비교대상은 이렇습니다. 반복값을 표현하면 i = 1, 4, 1 j = 1, 5-i, 1 이 됩니다. 위와 같은 경우는 5개의 데이터로 한정된 경우지만 그렇지 않고 n값으로 설정됐을 때는 결국 i = 1, n-1..
2021.10.12 -
[알고리즘] 선택정렬
n개의 데이터를 정렬할 때 총 회전 수는 n-1개 (마지막 데이터는 나머지가 다 정리된 뒤 남은 값이기 때문에 정렬할 필요가 없다) 다음은 5개의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리하는 문제입니다. 5개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해서 작은 값부터 왼쪽으로 보내 정렬하는 건데요. 이때 1회전 때 (1)번지의 값을 (2), (3), (4), (5) 번지의 값들과 비교해 가장 작은 값을 찾아 (1)번지에 넣어야 합니다. 비교가 끝나면 가장 작은 값이 (1)번지에 들어가면서 1회전이 끝나게 됩니다. 4회전까지 진행하고 나면 이런 형태가 되는데요. 이때 5회전을 하지 않고 종료됩니다. 남은 값이 하나일 때는 이미 다른 값들과 비교가 끝난 상태이기 때문이죠. 이때 비교하려는 두 값을 i, j 변수에 넣고 비교한다면 이런 형태가 ..
2021.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