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개념 정리(9)
-
[알고리즘] 마방진
마방진 규칙 1. 처음 숫자 1은 1행 가운데 열에서 시작합니다. 2. 행이 감소(5행→4행, 4행→3행...)되고, 열은 증가(1열→2열, 2열→3열...)하면서 다음 데이터가 들어갑니다. 결과적으로 오른쪽 대각선 방향으로 다음 데이터가 들어갑니다. 3. 행이 점차 감소하다가 1행→0행이 되면 마지막 행으로 이동합니다. 4. 열이 점차 증가하다가 마지막 열이 되면 1열로 이동합니다. 5. 5의 배수이면 행만 1행 증가합니다. 6. 위의 조건으로 숫자를 채워나가다 보면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모두 동일한 마방진이 완성됩니다.
2021.09.28 -
[알고리즘] 행고정 열변화, 열고정 행변화
배열 선언 준비 단계에서 A(5, 5) 를 선언한다면 5행 5열의 배열을 만들라는 뜻입니다. 조건에 따라 1행 1열부터가 아닌 0행 0열부터 시작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행고정 열변화 말그대로 행을 고정한 상태에서 열이 바뀌는 것 데이터가 들어가는 순서가 행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로로 진행된다면 행고정 열변화입니다. 순서가 1행 1열, 1행 2열, 1행 3열 순으로 들어가는 것이죠. 순서도는 이중 for문 구조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먼저 바깥쪽 변수 i에서 1을 고정한 상태에서 안쪽 변수 j를 1부터 5까지 반복하는 형태입니다. i를 고정하고 j가 증가하는 형태이니 i가 행, j가 열이 되겠죠. 열고정 행변화 반대로 열을 고정한 상태에서 행이 바뀌는 것 데이터가 들어가는 순서가 열이 고정된 상태에..
2021.09.25 -
[알고리즘] 알고리즘(Algorithm)의 문법
알고리즘의 문법 변수(Varlable) 변할 수 있는 값 ex) 하나의 컵엔 물이 가득 채워져 있고 또 다른 컵엔 기름이 반만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컵 자체가 변수가 됩니다. 상수(Constant) 항상 일정한 값(변수의 반대 개념) ex) 변수의 예에서는 컵에 채웠던 물, 기름이 상수가 되겠죠. 연산자(Operation) 배열(Array) 동일한 형의 데이터들로 이루어진 집합 1차원 배열 ※ 배열의 시작이 사용 언어마다 달라 A(1) 거나 A(0) 일 수 있습니다. 2차원 배열 ※ 1차원 배열과 마찬가지로 배열의 시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함수(Function)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정의된 수식입니다. 함수는 그 종류가 방대해 그 중 자주 쓰이는 함수 5가지..
2021.09.20